Start AWS for Live
-
IAM 계정 생성하기Start AWS for Live 2021. 7. 4. 04:02
IAM은 계정 보안을 설정하는 것인데, 리눅스에서도 root 계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보안 사항에 있는 것처럼 AWS에서도 root 계정을 사용하지 않고 IAM이라는 계정을 생성해서 권한을 부여하는 형식으로 계정 관리를 한다. 리눅스를 알고 있는 사람은 이해가 조금 빠르겠지만 모르고 있어도 이 설정을 통해 보안을 구축할 수 있다. AWS에 접속했다면 서비스 > IAM 메뉴로 진입한다. 모든 서비스에 있는 서비스 목록에서 별 모양을 클릭하여 즐겨찾기를 할 수도 있다. 나는 즐겨찾기를 설정해놓았다. IAM 메뉴를 보면 IAM 리소스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있다.나는 이미 사용자 3개를 등록했으며 3명의 사용자가 2개의 그룹의 정책을 따르도록 설정되어 있다.하나 더 만들어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을 기록한..
-
AWS EC2 생성하기 및 윈도우 서버 RDP 접속 방법Start AWS for Live 2021. 6. 30. 03:19
AWS 계정을 가이드에 맞춰서 따라 하니 잘 생성되었고, 이제 가상 서버를 생성해서 AWS를 활용해야 된다. 가상 서버는 어떻게 생성하나 AWS에서 찾아보니 EC2라는 메뉴에서 가상 서버의 OS를 선택하면 만들어지는 방식이었다. 그렇다면 EC2는 어떻게 하면 만들 수 있을까? EC2는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의 줄임말이다. 클라우드 상에 서버를 놓으므로 인해서 별도의 서버실의 규모를 줄이거나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서버를 가상공간에서 빠르게 생성하고 빠르게 삭제할 수 있는 매우 큰 장점이 있다. 오늘도 내부에 사용할 서버를 세팅했는데 EC2가 매우 생각났다. 아무튼 , EC2를 생성하기 위해서 EC2 대시보드로 이동한다.리전은 이미 서울로 변경해 뒀기 때문에 바꿀 ..
-
AWS 루트 사용자와 IAM(Identity for Access Management)사용자의 차이Start AWS for Live 2021. 6. 28. 01:07
가입을 완료하고 나니 로그인 화면이 나타나는데, 루트 사용자와 IAM 사용자 로그인이 두 개가 나타났다. 왜 두 개의 사용자 로그인이 존재하는 걸까? 나는 분명 한 개의 로그인 계정만을 생성했다. 그리고 루트 사용자와 IAM 사용자는 무슨 차이가 있는 것일까? 우선 루트 사용자에 대해서 알아보자.루트 사용자는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그 루트 사용자가 맞다.모든 권한을 가진 슈퍼 어드민 계정이다. 계정의 모든 리소스에 대한 전체 액세스 권한을 허용한다. 루트 사용자 만의 제한된 특정 작업이 있다고 한다.일반 서버에서 쓰는 루트 계정과 동일하다.좀 더 읽어 보면 IAM 사용자를 생성하고 루트의 액세스 키를 잠그는 걸 권장하고 있다. 루트 사용자 계정을 잠그고 IAM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라고 ..
-
AWS 가입하기Start AWS for Live 2021. 6. 27. 23:42
AWS를 습득하는데 주위에 도움을 줄 사람이 있지만 바쁘기 때문에 일일이 다 물어볼 수는 없고 무작정 따라 할 수 있도록 책을 하나 살 예정이다. 지금 정말로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이다. 사실 암담한 상태이다. 그래서 모든 과정을 블로그에 기록한다. AWS에서 제공하는 교육과 자료들을 통해 기본 지식을 익히고 자격증이 필요하다면 시험도 준비할 예정이다. 그래도 실무에서는 어떤 기능이 있고 언제 사용해야 하고,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AWS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AWS 계정 생성" 메뉴를 클릭한다. 총 5단계로 이루어진 가입 단계를 차근차근 진행한다. 영문주소 입력은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
-
AWS 리전(Region) 과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AZ) 그리고 에지 로케이션(Edge Location)Start AWS for Live 2021. 6. 22. 04:22
AWS에는 리전(Region) /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AZ) / 에지 로케이션(Edge Location)이라는 개념이 존재하고 이 개념들은 AWS의 가용성을 설명할 수 있는 명확한 개념이다. 그렇다면 리전(Region)과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AZ) 그리고 에지 로케이션(Edge Location)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리전(Region) 이란?- AWS의 모든 서비스가 존재하는 물리적인 위치- 리전 안에는 여러개의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AZ)이 존재 리전(Region)이 여러곳에 존재하는 이유?- 재해 발생시에도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 리전이 한 곳에 있다면, 리전으로부터 먼 곳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면 속도가 ..
-
AWS의 기원 및 기본 정보Start AWS for Live 2021. 6. 21. 02:51
AWS란?Amazon Web Services의 줄임말. 아마존 웹 서비스. Amazon.com에 필요에 의하여 만들어진 서비스.기존 온프라미스 환경에서의 물리적인 장치의 설치 / 설정 / 제거 등을 온라인에서 손쉽게 함비용과 시간을 온프라미스 환경과는 비교도 안되는 수준으로 줄였다. AWS 컴퓨팅 모델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온라인 상에 IT 인프라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IT 운영자는 서버를 물리적으로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고 공간 활용에서 좀 더 자유로워진다. 서버를 없애는 것 또한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가상의 서버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저장공간 또한 제공한다. 서버를 새로 샀는데 가상에 있고, 소프트웨어(OS 등)를 설치 및 설정하면 된다. Pa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