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 맥북 프로 15인치(A1707) 트랙패드 분해 청소 후 조립Mac 2023. 8. 12. 15:03반응형
어떤 랩탑이든 터치패드 또는 트랙패드라고 부르는 부분이 존재한다.
맥에서는 트랙패드라고 부르는데 이 부분이 눌림이 시원치 않았다.
보통 이런 경우 배터리 스웰링으로 인한 눌림으로 그런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번엔 열어보니 그런 경우는 아니었다.
그래서 물리적인 고장인가 싶어서 트랙패드를 부품용 맥에서 분해해서 이식하려고 했다.
트랙패드 분해과정은 꽤나 귀찮은 과정이지만, 마무리가 잘 되었다.
A1707 모델명으로 검색하면 16년식과 17년식으로 나눠진다.
이건 17년식인데 DDR3 RAM이 장착된 걸 오늘 처음 알았다. 확실히 구형은 구형이다.
2017 맥북 프로 15인치(A1707) 작업 과정은 뒷판을 열고 배터리를 제거하고 트랙패드를 분해한다.
배터리를 제거하는 과정은 위험하고 접착제로 붙어있기 때문에 많은 힘이 요구된다.
만약 힘을 적게들이고 깔끔하게 제거하려면 배터리 제거 전용 용액을 구입하여 뿌린 뒤 제거한다.
하지만 힘껏 배터리를 제거하려고 무리한 행동을 하면 배터리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
매우 조심해야 하는 과정이다. 필요한건 드라이버 세트와 배터리를 제거할 도구(날카로운 것은 안된다)가 필요하다. 내가 사용한 도구는 이 정도이다.
배터리를 제거하는데 동봉된 헤라를 이용했다. 볼트를 풀 때 사용한 드라이버 날은 6개 정도의 드라이버 날을 바꿔가며 맞는 걸로 볼트를 풀어준다.
T3, H1.5, P5, P2, T9H, T5H 사이즈로 날을 바꿔가며 진행했다.
잘못된 사이즈로 볼트를 풀려고 시도하면 나사선이 사라져서 매우 곤란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알맞은 사이즈로 볼트를 풀면 아무 문제없다.
맥북 프로 2017 15인치 배터리를 분해하는데 사용한 드라이버 날 트랙패드와 로직보드(메인보드)를 보호하는 덮개의 볼트 2개를 풀어서 덮개를 제거한다.
트랙패드와 로직보드(메인보드)를 보호하는 덮개의 볼트 2개를 풀어서 덮개를 제거 로직보드(메인보드)와 연결된 트랙패드 연결 케이블을 분리한다.
밑에서 위로 들어 올리면 쉽게 분해할 수 있다.
잘못된 자세나 무리한 행동으로 케이블이 찢어지면 다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침착하게 진행한다.
로직보드와 트랙패드 케이블을 분리 맥북을 닫은 상태에서 트랙패드를 고정하는 13개의 볼트를 풀러 준다.
이건 어렵지 않다. 사이즈만 잘 맞는 거로 볼트를 풀어주면 된다.
그리고 볼트를 잃어버리지 않게 잘 보관해야 한다.
다른 부품의 경우 볼트 하나 잃어버려도 괜찮을 수 있는데, 트랙패드는 아니다.
트랙패드를 고정해 주는 볼트가 없는 부분이 소음이 생기거나 유격이 생길 수 있다.
빈틈이 생기면 이물질에 취약하고 터치감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총 13개의 트랙패드 고정 볼트를 풀어준다. 맥북 덮개를 살짝 열어서 트랙패드를 받친다.
그리고 조심스럽게 트랙패드를 빼낸다.
이때 트랙패드 케이블이 손상되지 않게 조심히 탈거해야 한다.
맥북 본체에서 트랙패드 제거 트랙패드가 굉장히 더러웠다.
이물질이 너무 많았다. 그래서 동작을 제대로 안 했나 싶기도 하다.
일단은 이물질을 모두 제거했다.
그리고 트랙패드 분해서 본체와 트랙패드를 고정하는 볼트 부분을 보호해 주는 금속판이 있다.
이것도 없으면 유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조립할 때 그대로 끼워 넣어야 한다.
분해가 되는 부분이므로 잘 보관해야 한다.
본체와 트랙패드를 고정하는 볼트 부분을 보호해주는 금속판은 잃어버리기 쉽다. 잘 보관해야 한다. 트랙패드가 끼워졌던 하판 앞쪽도 굉장히 지저분하다.
여기도 잘 청소해 준다.
하판 트랙패드가 위치하는 부분도 잘 청소해준다. 교체할 트랙패드를 부품용에서 분해해 봤는데, 뭔가 전원 케이블의 품번이 틀리다.
느낌이 싸해서 한번 교체해서 조립해 봤는데 동작하지 않는다.
모델명은 똑같았는데....ㅠ 결국 기존 거를 다시 조립하기로 했다 ㅠ
부품용에서 분해한 트랙패드가 기존 트랙패드와 케이블의 품번이 다름을 확인 분해의 역순으로 다시 조립했고 트랙패드가 정상동작했다.
2년 전에 배터리를 교체했었는데 다시 문제가 생겨서 어차피 제거했어야 했다.
그래서 배터리 제거하고 트랙패드 청소 후에 재조립하고 나니 잘 안 눌리는 현상이 해결되었다.
사실 기대는 안 했지만 예상보다 꽤 괜찮은 소득이다.
아직은 쓸만하니까 배터리를 다시 교체해서 사용해 볼 예정이다.
반응형'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직키보드 Touch ID(잠금 해제 버튼)가 동작 안할때 해결 방법 (0) 2023.08.18 macOS Ventura OS 언어 변경 (0) 2023.08.17 M1 맥북 배터리 아이콘에 X 표시 나타날때 해결 방법 (0) 2023.08.12 macOS Sonoma 호환 기종 알아보기 (0) 2023.08.11 macOS Ventura 배터리 성능 최대치 확인 방법 (0) 2023.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