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이란?Engineer information security 2020. 11. 9. 04:05
TCP는 흐름 제어 / 혼잡 제어 / 오류 제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프로토콜이다. 위의 세 가지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흐름 제어 :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것은 Sliding Window(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을 통해 진행된다. Sliding Window란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수신 가능한 크기를 정한 뒤, 그 범위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혼잡 제어 : 네트워크의 상황이 혼잡할 때 송신자가 데이터 전송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수신자가 데이터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 송신자가 계속 데이터를 보낸다면 수신자가 받지 못한 데이터는 손실 또는 누락된다. 오류 제어 : 데이터를 전송할 때 오류가 발생하면 재전송하여 신뢰성을 보장한다. TCP의 기..
-
FortiGate FortiView 탭 탐험하기Firewall 2020. 11. 8. 20:23
지난 글에 이어 바로 밑에 있는 메뉴 FortiView를 클릭했다. 탭이 많이 나타난다. 메뉴만 보면 Traffic양을 확인하는 탭으로 보인다. 그럼 실제로 들어가서 확인을 해보도록 하겠다. 가장 위에 있는 Traffic From LAN/DMZ 구역의 Sources를 클릭해 봤다. 탭이 나눠져 있는데 출발지 / Source Device / 바이트(발송/수신) / Sessions / 대역폭을 보여준다. 어떤 사용자가 데이터를 어디로 보냈고 몇개의 세션이 연결되어 있는지, 대역폭은 몇인지를 알려준다. 출발지에서 자세히 보고 싶은 IP가 있다면 더블클릭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면 어떤 어플리 케이션을 이용했는지 등등 더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다. 나머지 탭도 별반 다르지 않다. 구간이 다를 뿐이며 , Al..
-
FortiGate Security Fabric 탭 탐험하기Firewall 2020. 11. 8. 19:37
Main 탭 아래 Security Fabric이라는 탭이 있다. 번역기를 돌려보니 보안 구조라는 의미인데.. 탭을 클릭하면 6개의 메뉴가 나타난다. 각 메뉴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알아보자. Physical Topology & Logical Toplogy 메뉴 이름만 봐도 이 두개는 굳이 글로 쓸 필요가 없을 거 같다.. 클릭해서 눈으로 보니 바로 이해가 되었다. 방화벽을 기준으로 토플로지를 보여준다. Physical은 물리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며 Logical은 논리적으로 설정한 인터페이스 및 IP대역을 보여준다. Security Rating 보안 등급을 표시하는데 점수가 나온다.. 점수가 좋지 못하다.. 이러면 위험한 거 아닌가 ㅠㅠ 오른쪽에 Scheduled Run 이라는 파란색 박스가 있는데 커..
-
FortiGate 방화벽 Main 탭 탐험하기Firewall 2020. 11. 8. 18:18
나는 이 방화벽의 기능을 제대로 알아본 적이 없다. 배워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방화벽의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지만 좀 더 정확히 알고 싶고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차근차근 하나씩 시간을 갖고 메뉴를 하나하나 파볼 생각이다. 접속하면 왼쪽 탭에 여러가지 메뉴가 있다. 자주 쓰는 메뉴부터 잘 안 쓰는 메뉴까지.. 일단 가장 상단에 Main 탭을 클릭해봤다. 시스템 정보를 출력해 주는 화면이다. 큰 탭으로 몇개 나눠져 있고 장비 시스템에 설정돼있는 기능이 무엇인지 한눈에 볼 수 있다. System Information Hostname : 장비 이름 Serial Number : 장비 고유 번호 Firmware : OS 버전 Mode : 잘 모르겠지만 이것을 건드리면..
-
TCP 와 UDP의 차이Engineer information security 2020. 11. 8. 04:28
TCP와 UDP는 시험에서나 실무에서나 매우 중요한 프로토콜이다. 이 부분을 모르고는 시험도 실무도 , IT에서도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이다. 일단 이 두개의 프로토콜의 성향과 각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서비스에 대해 중요 부분을 간략하게 써본다. 연결 지향 : 데이터를 전송할 때 연결 규칙을 설정하는 과정이다. 규칙을 지정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시 오류를 줄이게 된다. TCP는 3Way Handshake 과정을 거친다. 신뢰성 : 신뢰성이 있다면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받았는지 확인(Ack)을 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가 누락되었거나 데이터가 손실된 것이 있다면 수신자도 그에 맞는 응답을 보내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데이터가 정상적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흐름 제어 : 발신자와 수신자가 데이터 ..
-
Window server 2019 설치 후 CLI만 나타날 때 해결 방법IT Operation 2020. 11. 7. 17:37
Windows server 2019 체험판을 VM에서 설치했다. 근데 이상하게 모든 게 CLI로 진행되는 것이 아닌가?? 나는 GUI가 필요한데 ㅠㅠ 뭔가 잘못 되었음을 직감했다. 그리고 MS포럼을 가서 확인해 봤는데... 설치할 때 옵션 자체를 잘못 선택하여 발생한 사건이었다..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옵션 바꿔서 다시 설치해야 한다.. 설치할 때 옵션을 보면 4가지가 있다. 근데 나는 제일 상단의 Windows Server 2019 Standard Evalution을 선택해서 설치했고, 이것이 Windows Server 기능만 설치하고 CLI로 사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설치 후에 알았다. 반드시 설치할 때, 옵션을 2번째(Windows Server 2019 Standard Evaluation(Desktop..
-
Zabbix agent가 서버와 연동이 잘 안될 때 해결 방법IT Operation 2020. 11. 7. 17:26
Zabbix Server를 해외에 있는 서버의 Agent와 연동시키는 작업을 해야 했는데 Agent를 설치하면서 IP를 정확히 입력하고 확인해봐도 영 붙질 않았다. 그래서 공식 포럼도 찾아보고 이런저런 방법을 확인해 봤다. 키포인트는 Hostname이었다. 공식 포럼에서는 Hostname이 일치해야 한다를 매우 강조했다. 하지만 Hostname을 일치시켜봤지만 왜 되지 않는 거지?라는 의문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컴퓨터의 로컬 Hostname이 일치 해야 되는 것이라 생각했는데 일치시켜도 뭔가 잘 붙지 않았다. 오늘은 이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물론 통신은 기본적으로 모두 잘 되는 가정하에 글을 쓰는 것이다. Agent를 설치하다 보면 클라이언트의 Hostname과 Zabbix Server 정보를 입력..
-
윈도우에서 "내PC" 아이콘이 보이지 않을 때 해결 방법IT Operation 2020. 11. 6. 03:06
윈도우를 포맷하고 초기에 휴지통만 남아 있고.. 다른 아이콘이 없을 때 상당히 당황했던 기억이 난다. 오늘은 바탕화면에 기본 아이콘들을 표기하는 방법을 글로 남겨본다. 바탕 화면 아무곳에서 위클릭을 하면 몇 가지 메뉴가 생긴다. 메뉴 중에 "개인 설정"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나면 여러가지 메뉴가 다시 나타나는데, 여기서 테마(Themes)로 이동한다. 테마 메뉴의 관련 설정(Related Settings) > 바탕 화면 아이콘 설정(Desktop Icon Settings)으로 이동한다. 원하는 바탕 화면 아이콘들을 체크 해준뒤 확인을 클릭한다. 별거 아닌거 같지만 막상 모르면 생각보다 짜증이 나는 옵션이다. 관련 링크도 함께 첨부한다. support.microsoft.com/ko-kr/windows/w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