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정의 및 목적 & LAN / WAN & Protocol & IETF & RFC문서Engineer information security 2020. 10. 6. 05:05반응형
나는 네트워크를 배울 때 너무 어려웠고 포기했던 적도 있었다.(지금도 잘 모르겠음)
하지만 실무에 나오면 네트워크만큼 중요한 게 없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잘 모르는 것을 다시 복습 및 다듬어 가는 과정으로 글을 써본다.
네트워크 정의 및 목적
정의 : 장비(PC) 간의 정보를 매체(케이블)로 연결하여 데이터(정보)를 주고받는 것
네트워크는 Net + Work의 합성어 이며 , 그물 + 일 이라는 뜻이다.
목적 : 공유(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 자원) , 물리적 정보 교환보다 빠른 데이터 교환 가능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회사 내부 네트워크 또는 건물 내부 네트워크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근거리인 만큼 속도가 빠르다. 대표적으로 Ethernet을 이용한다.
WAN(Wide Area Network)
원거리 통신망을 의미한다. 넓은 범위를 연결하여 만들어진 망이기 때문에 광역 네트워크라고 이해하면 된다.
원거리 이기 때문에 속도가 비교적 느리다. ISP 같은 통신 업체가 관리한다(우리가 흔히 아는 통신사)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을 의미한다. LAN과 WAN 사이의 규모라고 이해하면 된다.
이것은 크게 중요하게 배우지 않았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을 하는지 안 하는지 잘 모르겠다.
Protocol(통신규약)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하는데 필요한 장비(네트워크 장비 등)가 서로 통신을 위해 정해놓은 약속이다.
서로 통신하고 싶은 두 컴퓨터가 있다고 가정하고 한 컴퓨터는 A protocol, 다른 컴퓨터는 B protocol을
사용한다고 하면 서로 다른 protocol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통신할 수 없을 것이다.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
어떤 기구나 단체가 분명 프로토콜을 제정하고 관리해야 할 것이다. 안 그러면 모두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통신이 안될 수 있지 않는가? IETF는 프로토콜을 정의 및 분석, 표준화를 담당하는 기구이다. 그리고 정의된 것을 문서화한다. 이것을 RFC문서라고 한다.
RFC(Request For Comments) 문서
프로토콜의 정의 , 설명이 문서로 정리되어 있고 해당 프로토콜이 하는 역할이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다.
본인이 시험을 볼 때, 기출문제를 많이 봤지만 너무 기초이기 때문에 시험에서 언급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하지만 시험을 본다면 기본 소양으로 LAN , WAN , Protocol의 의미는 반드시 알아야 한다.
반응형'Engineer information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Layer Model & TCP IP Model (0) 2020.10.07 Shell & Kernel의 역할 / Linux 시스템 사용자 정보 확인 (0) 2020.10.06 패스워드 크래킹(Password Cracking) (0) 2020.10.05 SID(Security ID) / 윈도우 인증 알고리즘(LM/NTLM hash/NTLMv2 hash) (0) 2020.10.04 윈도우 인증 과정 (0) 2020.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