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IP(Internet Protocol) Header 구조
    Engineer information security 2020. 10. 19. 02:51
    반응형

    IP Header의 구조를 알면 네트워크를 이해하는데 수월하다. IP Header 구조를 알아보자.

     

    IP 헤더 구조
    IP Header 구조. 출처 : Ahnlab

    한글화가 되어 있어서 보기 편할 수도, 불편할 수도 있다. 설명은 영문을 함께 적겠다. 중요한 항목은 글자색을 변경했다.

    ▷ 버전(Version, 4bit) : IP 버전 정보이다.

    헤더길이(Header Length(HL), 4bit) : IHL(IP Header Length)이라고 하기도 한다.

    ▷ 서비스 타입(Type of Service, 8bit) : Different Service(DS)라고도 한다. 서비스 우선순위를 표시한다.

    ▷ 전체길이(Total Length, 16bit) : IP Packet 전체 길이(IP Header + Payload)

    ▷ ID(Identification, 16bit) : Packet의 Fragmentation(단편화)이 진행되기 전 원본 데이터의 식별 값이다.

    ▷ 조각상태(IP Flags, 3bit) : 단편화 상태 체크(단편화를 더 할 수 있는지 유무 / 단편화 조각이 마지막 조각인지 유무)

    ▷ 조각의 위치(Fragment Offset, 13bit) : 단편화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낸다. IP Header값을 제외한 데이터 그램(Payload값)의 값으로 조각의 순서를 정한다.

    TTL(Time To Live, 8bit) : Packet의 생존 시간이다.(Router를 하나 거칠 때마다 값이 1씩 감소한다. 0이 되면 Packet이 폐기된다. 기본적으로 Windows : 128, Linux 및 Unix : 64이다.)

    ▷ 프로토콜(Protocol, 8bit) : 상위 계층에 사용될 프로토콜을 포함

    ▷ 체크섬(Checksum, 16bit) : Header Checksum 이라고도 한다. IP Header의 오류, 변조 등을 체크하는 값이다.

    ▷ 출발지 주소(Source Address, 32bit) : 출발지 IP 주소

    ▷ 도착지 주소(Destination Address, 32bit) : 도착지 IP 주소

    ▷ 선택사항(IP Options, 0 - 40bit) : 출발지 경로를 지정, 보안 설정, 패킷 경로 확인, padding값(위의 이미지에서 채워넣기 부분, 전체 크기가 32bit 단위가 되지 않으면 패킷이 폐기될 수 있을 때 채워 넣는 쓰레기 값)등의 여러 옵션을 사용할 때 필요

     

    모두 기억할 수 없더라도 위에 글자색을 변경한 3가지(IP Flags, Fragment Offset, TTL)는 중요하므로 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자.

    반응형

    'Engineer information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MP 헤더 구조  (0) 2020.10.26
    ARP 헤더 구조  (0) 2020.10.19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와 RARP(Reverse ARP) 프로토콜  (0) 2020.10.15
    3계층 Network Layer  (0) 2020.10.14
    2계층 장비의 종류 및 기능  (0) 2020.10.13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