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계층 Network LayerEngineer information security 2020. 10. 14. 01:28반응형
3 계층은 Network 계층으로 비중이 상당한 계층이다.
End Node(최종 목적지) 구분을 위한 IP 주소를 지정한다. IP주소는 논리적 주소이며 변경이 가능한 주소이다.
Routing(경로 설정)을 정하는 계층 이기도 하다.
3계층 Network Layer
Protocols
대표적인 Protocol은 IP / ICMP / ARP가 있다.
저 3가지 프로토콜에는 등급이 있다. 그림으로 설명해 보겠다.
3계층 프로토콜 ARP
기본 개념은 IP Address -> Mac Address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IP Protocol에서 도착지 MAC Address를 알 수 없을 때 도착지 IP Address와 ARP Address(Broadcast Address(FF:FF:FF:FF:FF:FF:FF:FF)) 를 가진 패킷을 네트워크에 뿌린다.
그리고 알아낸 ARP Address를 ARP Cache Table에 저장하게 된다.
이것의 반대 개념(물리적 주소(MAC)는 알지만 논리적 주소(IP)를 모를때)으로는 RARP가 있다.
IP
End Node - End Node간 통신을 하기 위한 주소를 가진 Protocol이다.
IP Address는 고유값을 사용하고 전송만을 담당한다.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iority)에서 관리하며, IPv4와 IPv6가 있다.
ICMP
IP Protocol의 비신뢰성, 연결성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프로토콜이다.
IP Protocol 보다 상위에서 동작하지만 같은 3계층에 존재한다.
네트워크 관리, 오류 보고를 메시지 형식으로 전달한다.
오늘은 크게 3계층에 어떤 프로토콜이 존재하고 역할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더 자세한 설명은 다음에 쓰기로 한다.
정리하자면
3계층은 IP 주소(논리적 주소)를 지정하고 라우팅을 지정한다.
ARP는 논리적 주소 -> 물리적 주소로 변환
IP는 End Node - End Node를 연결하기 위한 비신뢰성, 연결성을 가진 프로토콜
ICMP는 IP의 비신뢰성,연결성의 단점을 보완하고 네트워크 관리, 오류보고를 하는 역할을 한다.
반응형'Engineer information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Internet Protocol) Header 구조 (0) 2020.10.19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와 RARP(Reverse ARP) 프로토콜 (0) 2020.10.15 2계층 장비의 종류 및 기능 (0) 2020.10.13 2계층 Data Link (0) 2020.10.12 1계층 통신장비(Hub & Repeater) , 그리고 신호 전달 방식 (0) 2020.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