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계층 Data Link
    Engineer information security 2020. 10. 12. 00:52
    반응형

    2 계층은 Data Link 계층으로 Node와 Node 간의 연결을 담당한다.

    각 Node에는 MAC주소가 존재하고 MAC 주소는 NIC의 물리적인 주소이다(절대 변경 안 되는 값)

    Protocol은 Ethernet이 대표적이다. 

    MAC Address

    NIC(Network Interface Card,랜카드)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 값이다. 물리적 주소라고도 한다.

    Node 간 통신, 정확히 말하자면 인접 장비간의 통신을 위한 주소이다.

    12자리로 이루어져 있고, 상위 6자리는 제조업체(Vendor) 식별 번호이고 하위 6자리는 장비 식별 번호이다.

    MAC Address의 브로드 케스트 주소는 FF:FF:FF:FF:FF:FF 이다.

     

    Ethernet Protocol

    Ethernet Protocol은 MAC 주소가 통신할 때 필요한 Protocol이다.

    현재는 거의 모든 네트워크에서 Ethernet을 사용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Ethernet Frame 구조 

    Ethernet Frame 구조
    Ethernet Frame 구조

    Preamble(8byte) : 2 계층 헤더 역할

    Destination Address(6byte) : 목적지 MAC Address

    Source Address(6byte) : 출발지 MAC Address

    Type(2byte) : 상위 Protocol 코드 값

    Payload(46-1500byte) : 데이터

    FCS(4byte) : Frame Chacksum Sequence(오류 체크 값)

     

    정리하자면

    2 계층은 Node - Node 통신(인접 장비 통신)을 위한 계층이다.

    2 계층의 통신 Protocol은 ethernet이다.

    MAC Address는 통신을 위한 NIC의 고유 식별 값으로 물리적 주소라고도 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