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permicro 서버에 새 디스크 연결 후 인식 제대로 안되는 현상 해결 방법IT Operation 2022. 5. 28. 14:40반응형
Supermicro 서버에 새 SSD를 장착해 달라는 연락을 받았다.
그냥 장착하면 되겠구나 싶어서 아무 생각 없이 디스크를 장착했지만 디스크 인식이 되지 않았다.
어떤 상황이었고 어떻게 해결되었는지 글로 남겨 놓는다.
작업을 허겁지겁 완료 하다보니 약간 이미지가 없어서 Supermicro 매뉴얼을 참조했다.
supermicro server OS는 Ubuntu이고 df -h를 통해 디스크의 상태를 봤는데 "Partition 2 does not start on physical sector boundary"라는 에러가 출력되고 있었다. 물리적 섹터가 어쨌다는 건가.. 흐음... 다른 사람들처럼 GPT 형식이라 안된다는 것도 아니다.. 뭘까...
다시 재부팅하여 BIOS에서 새로운 디스크를 인식했는지부터 확인했다.
새로 설치한 Samsung SSD 870은 바이오스 상에는 인식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리적인 인식에는 문제가 없는 것이다.
새로 연결한 SSD의 베이에서 파란불이 들어와 있었다.
BIOS상에서는 인식이 되어 있다. 그래서 관련된 내용을 좀 알아보니, Raid Controller가 존재한다면 Raid Configuration Utility를 통해 새로 연결한 디스크도 Raid를 설정해줘야 한다. 부팅 중간에 RAID Volume 관련 내용이 나타나는데 CTRL + L 키를 눌러 설정 화면에 진입할 수 있다.
슈퍼마이크로 Raid Configuration Utility. 출처 : Supermicro RAID Volume을 생성하거나 지우거나 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날 것이다. Create RAID Volume을 생성해야 한다.
출처 : Supermicro 흔히 RAID를 구성한다고 하면 디스크를 모두 묶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맞다.
나는 레이드를 묶고 사용한 적이 없지만 새 디스크를 연결하고 레이드를 묶어야 한다고 생각하면 뭔가 말이 되지 않는다. 레이드 컨트롤러에서 관리하기 위해 레이드 묶는 것이다. 실제 들어가서 보니 이미 묶인 디스크의 레이드는 0이다. 새로 설치한 SSD의 Virtual Drive를 생성하고 나서 정상적으로 동작했다.
RAID Controller에서 Virtual Drive를 생성하고 정상 동작했다. 결론은 레이드 컨트롤러가 존재하는 서버의 경우 물리적인 연결을 완료하고 레이드 컨트롤러가 인식할 수 있도록 레이드를 구성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간단한 말이었지만 나름 무지해서 혼란을 잠시 겪었다. 다음엔 문제없이 설치할 수 있다.
슈퍼마이크로 매뉴얼 : https://www.supermicro.com/manuals/other/Intel_PCH_RAID_Config.pdf
반응형'IT Oper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정에 로그인할 수 없음 문제 해결 방법 (1) 2022.06.05 10G 이더넷 케이블로 구성 후 속도 테스트 (0) 2022.06.04 QNAP NAS LACP(본딩) 설정 (0) 2022.05.27 엑셀파일에 있는 이미지만 추출하는 방법 (0) 2022.05.23 DDR4와 DDR5의 체감 차이는 과연 클까? (0) 2022.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