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맥에서 sudo 명령어 입력시 "not in the sudoers file. This incident will be reported." 에러 발생시 해결 방법Mac 2020. 9. 14. 18:03
터미널에서 sudo 명령을 내렸는데 에러가 발생 했다. 그리고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려고 했으나 .. 역시나 에러가 발생 했다. 왜 그런지 알아봤더니 .. 관리자 권한이 없어서 그렇다고 한다. 해당 계정은 AD계정 이었고, 관리자 권한을 부여 해놓은 상태였다. 하지만 무슨 이유에서 인지 관리자 권한이 풀려 있었다. 그래서 PC에서 관리자 권한을 부여 하기로 했다. GUI 상에서도 간단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사용자를 이 컴퓨터의 관리자로 허용" 체크박스에 체크만 해주면 된다. "변경하려면 자물쇠를 클릭하십시오."를 클릭하여 자물쇠를 먼저 풀어야 한다. "이 컴퓨터의 관리자로 허용"을 클릭하고 재부팅 했더니 말끔하게 해결 되었다. 애플에서 관련 링크를 찾을 수 있었다. 링크를 걸어 두도록 해야겠다. supp..
-
AD 서버 , 그룹 또는 OU 삭제 에러 문제 해결 방법IT Operation 2020. 9. 13. 02:20
AD서버 그룹을 정리하다 보니 사용하지 않는 그룹이 생겼다. 그래서 삭제하려고 했더니.. "you do not have sufficient privileges to delete or this project or this object is protected from accidental delection" 이라는 에러창이 나타났다. 한마디로 권한이 없거나 객체가 선택적 보호를 받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 권한을 줘야 하거나 보호 받는 상태를 해제해야 할 것이다. 나는 이미 admin 권한으로 로그인 한 상태로 권한을 더 이상 줄 수있는게 없다. 아무래도 객체가 보호를 받는 상황이 맞는거 같아 이 부분을 확인하기로 하였다. 좀 검색해보니 같은 현상을 겪은 사람이 제법 있는듯 했다. social.tech..
-
MacOS AD 서버 계정 마이그레이션 방법Mac 2020. 9. 11. 01:25
AD서버와 그 서버에 조인된 Mac을 큰 문제없이 사용 해왔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AD서버에 물리적으로 문제가 생겼는데 이런저런 방법을 찾아 해결할 수 있지만 남아 있는 서버가 있어서 그 서버를 사용하기로 하였고, 문제는 Mac에 있는 사용자의 모든 정보를 그대로 옮겨서 사용해야 했다. 하지만 어떤 정보든 찾아보면 나오는 좋은 세상..(영문이었음ㅠ) 찾아보다가 방법을 찾았고 사용자의 정보를 완전하게 복원했다. 이 과정을 최대한 자세히 기록해 보도록 하겠다. 1. Admin 계정으로 로그인 AD에 가입된 계정은 권한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Admin으로 로그인해야 된다. 2. 사용자 계정과 디렉터리를 확인 사용자가 여러 명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확인한다. 사용자 계정명이 디렉터리 이름과 동일할 ..
-
Real VNC에서 Password must be changed 에러 발생시 해결 방법IT Operation 2020. 9. 9. 19:17
잘 쓰고 있던 원격 프로그램이 갑작스럽게 문제가 발생 하였다. "Password must be changed" 처음 보는 문제인데.. 패스워드를 변경해야 한다는 경고문에 나타난 것이다 .. 현재 상황을 보니 프로그램은 정상 동작해서 인증 정보를 교환하는 찰나에 암호를 변경해야 한다는 에러를 발생 시킨 것이다. 인프라 내에 AD서버가 있고 , AD서버의 계정 인증 정보로 VNC에 로그인 하도록 되어 있다. 계정 사용자는 암호를 바꿔야 하는 날이 지났지만, 컴퓨터를 계속 켜놓고 사용하는 바람에 알지 못했던 것이다. 암호를 변경하고 접속 해보니 잘 접속이 된다. 순서요약 1. AD 서버의 계정으로 VNC 접속 인증을 받을 수 있게 해두었다면, AD서버의 암호를 변경한다. AD 서버의 계정이 아니어도 중요한 것..
-
맥에서 키체인 문제 지속적으로 발생시 해결 방법Mac 2020. 9. 9. 15:10
자주 생기는 문제중에 하나인 키체인 문제에 대하여 적어본다. 사용자가 웹 사이트나 서버 접속시 인증 정보(ID/PW/등등)를 입력한 뒤, "계정과 암호를 저장하겠습니까?" 라는 질문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예"를 누르는 경우 인증정보가 키체인에 저장되며, 인증 정보를 키체인에 저장한 사이트나 서버같은 경우에 재접속 시 키체인 때문에 암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이 접속 된다. 오류가 나게 되면 아래 화면처럼 키체인의 암호를 입력해 달라고 하는데, 보통 자신이 사용하는 암호를 입력하면 된다. 만약 암호를 변경한 뒤 이 문제가 발생 했다면, 변경하기 바로 직전의 암호를 입력하면 된다. 하지만 키체인이 꼬여서 이 문제가 해결 안될 경우 사용자에겐 상당히 거슬리게 된다. 문제가 되는 키체인을 삭제할 수도 ..
-
macOS Mojave로 업그레이드 하기Mac 2020. 9. 9. 00:49
공장초기화를 하고 High Sierra를 사용하려 했으나, 기존에 사용하던 앱이 호환이 안되는 문제가 생겼다. 그래도 내 기억엔 Catalina 보단 Mojave가 훨신 안정적이고 무난했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 Mojave 업그레이드 하는 과정을 적어 본다. 맥의 업데이트는 처음에 "자동 업데이트 확인"이 체크되어 있다. 그래서 계속 틈틈히 우측 상단에 Catalina OS로 업그레이드 하겠냐는 메시지가 뜬다. 우선 자동 업데이트는 껏다. 그리고 Mojave로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 App Store를 켜서 검색했으나.. 나타나지 않는다. Catalina만 검색이 된다. 하지만 나는 Catalina를 쓰고 싶지 않다(섬보단 사막).. 그래서 웹 상에서 받기로 한다. 구글에서 mojave를 검색하니 .. 애..
-
Mac을 공장 초기화 하는 방법Mac 2020. 9. 8. 23:56
Catalina OS를 사용하다가 무슨 이유인지 이리저리 꼬여서 공장 초기화를 하기로 하였다. 나는 기존 볼륨을 삭제 하고 인터넷 복구를 이용하기로 하였다. APFS 볼륨, 데이터 볼륨 이렇게 두가지로 나눠져 있는데, 모두 삭제하고 하나로 만들었다. 그리고 저널링 방식으로 다시 디스크를 포멧 하였더니 ... 역시나 인터넷 복구가 등장했다.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자동으로 복구가 시작된다. 그리고 공장 초기화를 할 준비가 완료 되었다. macOS 다시 설치 를 눌러 설치를 OS설치를 진행 한다. 설치가 진행되고 있고 , 이제 기다리면 된다. 네트워크와 PC의 상태 등에 따라 시간은 천차만별이다. 자세한 설명을 보고 싶다면 애플의 공식 홈에서 확인할 수 있다. support.apple.com/ko-kr/HT2..
-
Gigabyte 메인보드 윈도우 10 설치 USB로 부팅 하기IT Operation 2020. 9. 7. 23:55
오랜만에 윈도우를 다시 설치 하려고 윈도우 10 USB를 구웠는데 사용법이 가물가물 했다. 그래서 주위에 물어보고 설치를 완료 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USB로 부팅만 하면 나머지는 설치 과정에 따라 쉽게 되었다. 그래서 USB 부팅 방법만을 기록해 놓는다. 컴퓨터를 부팅과 동시에 F2키를 열심히 눌렀다. 그랬더니 메인보드 설정 화면이 나타났다. 여러가지 메뉴 중에서 왼쪽 하단의 Boot Sequence 라는 메뉴를 선택했다. 부팅 순서를 변경할 수 있는데, 여기서 원하는 장치를 Drag & Drop으로 순서를 변경 한다. 나는 2번에 있는 USB를 1번으로 Drag 하여 부팅시 USB가 가장 먼저 읽히도록 설정 하였다. 그리고 다시 처음 화면으로 돌아와서 Save & Exit 하면 자동으로 재부팅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