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맥에서 업데이트 도중 치명적인 에러 발생시 해결 방법Mac 2020. 10. 22. 03:20
오늘은 맥에서 Keynote를 사용하기 위해 OS를 업데이트하다가 치명적인 소프트웨어 에러가 난 맥이 2개나 있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시도한 과정과 결과를 공유해본다. 결과적으로 확실한 해결 방법은 없었다. 그리고 랜선을 유선으로 연결하고 시도해 봤지만 그 상태에서 유선랜은 인식되지 않았다. 하지만 안전모드 부팅은 정상적으로 되었다. 차근 차근 아는 것을 하나씩 시도해봤다. 첫 번째로 하드웨어 점검을 했다. 업데이트 도중에 생긴 문제의 문구로 봐서는 소프트웨어 문제가 확실해 보이지만 그냥 진행해 보았다. Command + R을 이용하여 OS 유틸리티로 진입한 뒤, 디스크 유틸리티 항목으로 진입했다. 그리고 First Aid를 진행해서 하드 디스크에 이상 있는지 체크해보았다. 아무 이상이 없었다. 두..
-
Zabbix - Grafana 연동IT Operation 2020. 10. 19. 22:52
Zabbix의 대시보드는 매우.. 올드한 느낌이다. 그래서 대체할 시각화 프로그램이 있으면 매우 좋다. Zabbix를 계속 쓸까 Grafana를 구축해서 써볼까 하다가 Zabbix의 데이터를 Grafana로 연동하여 시각화를 시켜야겠다고 생각했다. Grafana는 다양한 시각화를 할 수 있게 Dashboard form을 제공한다. 두 프로그램을 연동하기 위해 막 시작했다. 내가 가지고 있는 노트북에 테스트를 하기 위해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였다.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면 쉽게 설치된다. 그리고 로그인을 하면 이제부터 연동 시작이다. 좌측에 여러 가지 설정 메뉴 아이콘이 있고 , 첫 번째 시작할 것은 플러그인 설치다. Grafana 홈페이지에 보면 Plugin 메뉴가 있고, Zabbix를 검색하면 Plugin..
-
ARP 헤더 구조Engineer information security 2020. 10. 19. 22:08
ARP는 논리적 주소(IP)를 물리적 주소(MAC)로 변경해주는 프로토콜이다. 그리고 세부적인 헤더 구조는 아래와 같다. 각각의 구조를 설명해 보자면, ▷ Hardware Type(16 bit) : ARP가 동작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네트워크 별로 번호로 구분된다. 1 : Ethernet 6 : IEEE 802(Wi-fi) 7 : ARCNET 15 : Frame Relay 16 : ATM 17 : HDLC 18 : Fiber Channel ▷ Protocol Type(16 bit) : 논리적 주소의 종류(IPv4, 0x0800만 알면 된다) ▷ Hardware Length(8 bit) : MAC 주소의 크기 ▷ Protocol Length(8 bit) : IP 주소의 크기 ▷ OPcode(16 bit..
-
IP(Internet Protocol) Header 구조Engineer information security 2020. 10. 19. 02:51
IP Header의 구조를 알면 네트워크를 이해하는데 수월하다. IP Header 구조를 알아보자. 한글화가 되어 있어서 보기 편할 수도, 불편할 수도 있다. 설명은 영문을 함께 적겠다. 중요한 항목은 글자색을 변경했다. ▷ 버전(Version, 4bit) : IP 버전 정보이다. ▷ 헤더길이(Header Length(HL), 4bit) : IHL(IP Header Length)이라고 하기도 한다. ▷ 서비스 타입(Type of Service, 8bit) : Different Service(DS)라고도 한다. 서비스 우선순위를 표시한다. ▷ 전체길이(Total Length, 16bit) : IP Packet 전체 길이(IP Header + Payload) ▷ ID(Identification, 16bit)..
-
Zabbix - Slack 연동 방법IT Operation 2020. 10. 17. 20:40
바로 설명을 시작한다. 일단 두 개의 앱에서 설정해야 할 메뉴는 아래와 같다. Slack - Webhook 설정 하여 URL 생성 / 채널 생성 후 연동(api.slack.com/messaging/webhooks) Zabbix - Script 작성 / Configuration 메뉴의 Action 탭 / Admistration 메뉴의 Users 탭 & Media Types 탭) 나는 Zabbix 5.0.3 버전을 이용하여 연동하였다. Slack에서 해야 할 일을 먼저 확인해 본다. 위에 남겨둔 링크를 들어가면 Webhook을 설정하는 것에 대해 나온다. 그리고 조금 하단으로 화면을 내리면 Create your slack app이라는 화면이 나타난다. 클릭한다. 만약 이 부분이 비활성화돼있다면 자신이 sla..
-
EDIUS 오류 발생시 해결 방법IT Operation 2020. 10. 16. 18:25
EDIUS에서 서버에 연결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와 함께 방하벽 세팅을 확인해 보라고 나타났다. 에러 코드는 2F19이다. 이 PC는 웹은 이용할 수 없도록 정책이 들어가있는 PC이다. 그래서 웹 접속을 열면 해결될 것 같았다. 방화벽에서 웹 접속을 허용시켜 놓고 보니 해결 되었다. 하지만 조금 궁금증이 남아서 EDIUS 홈페이지에서 자료 확인을 더 해보았다. 에러 코드를 확인해본 결과 인터넷 연결이 안 되거나 방화벽 문제가 맞다. WIndows에서 자체 방화벽을 내리고 백신 프로그램의 실시간 검사를 해제해야 한다고 되어있다. 다시 체크해 보니 모두 정상적으로 설정해놓았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고한 링크를 공유한다. www.edius.kr/main/shop/list.php?ca_id=10106040..
-
cmd로 서비스 종료 또는 시작 하기IT Operation 2020. 10. 16. 18:06
얼마 전에 사용하던 McAfee 서버가 정상적으로 서비스가 구동되지 않고 있었다. 에러 메시지를 확인해보니 HTTP 서비스가 McAfee에서 사용하는 포트를 선점하여 발생한 문제였다. HTTP 서비스를 종료 하고 McAfee 서비스를 실행하면 해결될 거 같았다. CMD(명령 프롬프트 창을 열고 net stop http 명령을 입력했다. 이 작업을 계속 수행하겠냐고 다시 물어보는데, Y를 누르면 진행된다. HTTP 서비스가 종료되고 McAfee 서비스를 실행했더니 역시나 잘 된다. 서비스 앱(Services.msc)에서 가끔 내가 끄거나 켜고 싶은 서비스를 끄려고 할 때 잘 안 꺼지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CMD를 이용해서 끄거나 켜면 에러가 현저히 적게 나타난다. 연관이 있는 글을 공유한다. suppor..
-
AD 계정으로 원격접속(RDP) 하는 방법IT Operation 2020. 10. 16. 03:53
원격 접속할 때 일일이 계정을 로컬에 생성하려고 하니 귀찮음도 생기고 보안상의 문제도 생길 것으로 예상됐다. 그래서 AD계정을 원격 접속 계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 보았다. 우선 AD계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접속할 컴퓨터를 AD Domain에 Join 시킨다. AD서버와 접속할 컴퓨터에 같은 네트워크에 존재한다면 매우 쉬운 일이다. 하지만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있지 않을 수 있다. 그럴 땐 방화벽 등에서 포워딩시켜주는 귀찮음이 생길 수 있다. AD 계정으로 원격접속(RDP) 하는 방법 1. Join이 완료되면 컴퓨터를 재시작하게 되고 , 재시작 후에 내 PC > 우클릭 후 속성 탭을 클릭한다. 2. 좌측 메뉴 4개중에 원격 접속을 클릭한다. 시스템 속성 > 사용자 선택을 클릭한다. 3. 추가 버튼..